MAP이론에 따르면 , 사회변화를 위한 운동 및 캠페인에서 단체와 활동가들은 다음의 4가지 역할을 수행한다 . 이 역할 모델은 단체나 활동가들이 해야 할 일을 결정하고, 각자의 활동을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준다. 각 역할의 가치를 제대로 인식하는 것은 운동의 전략을 분석하고 수립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각 역할은 목적과 방식 · 기능이 다르고, 운동의 단계에 따른 중요도 역시 다르다. 단체나 활동가는 각자의 특성과 운동의 요구에 따라 주로 수행할 역할을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4가지 역할을 다 하기는 어렵고 보통 1 ~ 2 가지 역할로 스스로 정체화한다.
4가지 역할은 모두 효과적인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비효과적인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그러나 때로는 비효과적인 방식이 당연하게 여겨지곤 한다. 예를 들어, 행동가는 늘 분노에 차 있고 대중과 유리되어 있는 것처럼 인식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행동가의 일반적인 특성이 아니며, 행동가 역할이 비효과적으로 수행된 경우이다.
4가지 역할이 모두 효과적으로 수행될 때 운동이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운동에 참여하는 단체와 활동가는 자신의 역할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때때로 긴장 관계에 있는 다른 역할에 대해서도 이해하면서 서로 협력해야 한다.
① 시민 ( 대중 지향 ) | 운동의 지지층을 확보한다
운동의 성공은 결국 대중의 지지를 얻는 데 달렸다 . 따라서 다수의 마음을 얻기 위해 운동은 대중적인 가치와 제도를 선택적으로 수용해야 한다. 이를 통해 활동가는 ‘평범한 시민’으로 인식되고, 운동의 당위성을 얻는다. 이런 시민 역할은 운동을 사회 주변부가 아닌 중심에 위치시키고, 운동을 반사회적 행위로 낙인 찍어 훼손하려는 권력자들로부터 운동을 보호한다.
그러나 시민 역할이 비효과적으로 수행되면, 권력자들의 주장을 믿고 문제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권력자들에게 맹목적으로 복종하는 대중의 정서까지 받아들여 운동에 저해가 될 수 있다.
② 행동가 (의제 부각) | 문제를 정치적 의제에 올려놓는다
행동가는 문제의 사회적 인지도가 낮고 제도적 절차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때, 참여 민주주의 를 촉진한다. 주로 제도 외적 수단을 사용하며 위험을 무릅쓰는 용감한 행동으로 사람들의 흥분을 불러일으킨다.
극적이고 논쟁적인 비폭력 직접행동 외에 집회, 행진, 유인물, 탄원 등도 효과적인 행동가 역할에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때로는 스스로를 사회 주변부의 외톨이로 생각하면서 공격적 태도를 보인다. 또한 풀뿌리 대중과 동떨어진 전투적 급진주의자처럼 행동해 역효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③ 개혁가 (점진 개혁) | 현실적이고 대안적인 해결 방안을 마련한다
개혁가는 기존 법률이나 제도에 밝으며, 그렇기 때문에 때로는 기존의 법률과 제도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증명해 보이기도 한다. 또한 개혁가는 운동을 성공시키기 위해서 로비, 소송, 국민투표, 집회 등 다양한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때로 기존 제도를 지나치게 신뢰하거나 너무 작은 개혁을 제안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이러한 역할에 참여하는 전문가들의 권력이 너무 커지면 운동의 민주주의가 훼손될 수도 있다.
④ 조직가 (운동 조직) | 운동의 전략을 세우고 참여 민주주의를 촉진한다.
참여 민주주의의 장을 마련해 민중의 힘과 시민 참여를 조직한다. 의제에 관해 대중과 사회 전체를 교육하고 설득한다. 기존 풀뿌리 단체와 네트워크 , 활동가들을 조직하고 육성한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운동의 전략과 전술을 세운다. 대안을 주창하고 패러다임 전환을 도모한다. 그러나 때로는 너무 이상적인 비전을 주장하거나 단 하나의 방법만 고집해 효과적 운동을 저해하기도 한다. 또한 운동 조직이 경직된 상황에서는 가부장적이고 억압적인 위계를 만드는 경향도 있다.
운동 단계별 역할의 변화
① 시민
대중 지향적인 활동으로 운동의 지지층을 넓히는 시민 역할은 단계가 올라갈수록 중요성이 커진다. 특히 계기가 되는 사건이 벌어지면서 4단계로 접어들 때 급격히 높아진다. 운동이 5 단계부터는 상대적으로 증가세가 줄어들지만, 지속적으로 상승해 7단계 성공에서 최고점에 이른다 . 다른 운동으로 넘어가는 8 단계에서는 다시 줄어든다.
② 행동가
운동의 의제를 부각시키는 행동가 역할은 가장 급격한 변화를 나타내며, 계기가 되는 사건에 따라 결집하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4 단계에서 이들의 참여는 정점을 찍으며, 그 뒤로도 단계별로 사건이 재발하면 다시 참여가 높아진다. 그러나 그만큼 감소도 급격하다. 7~8 단계에서 운동이 성공한 뒤에는 행동가 역할이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③ 개혁가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하는 개혁가 역할은 2 단계와 7~8단계에서 특히 중요하다. 2 단계에서는 ‘기존 절차의 실패’를 보여주어야 하며 7~8단계에서는 대안적 정책을 만들고 실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운동에 대한 여론이 점차 높아지는 4~6단계에서는 상대적으로 역할이 크지 않으며, 특히 실패를 자각하는 5 단계에서 역할이 가장 협소하다 .
④ 조직가
운동을 조직하고 장기적인 전략을 세우는 조직가 역할은 전체적으로 완만한 곡선을 그린다. 단계가 바뀌어도 크게 곡선이 높아지거나 낮아지지 않는다. 전략 수립 , 시민 교육 , 네트워크 등의 일상적 활동이 많기 때문이다. 실패를 자각하는 5 단계나 운동이 성공한 다음인 8 단계에도 꾸준히 역할을 수행한다.